고환율 환경 속에서 주목받는 고환율 수혜주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트럼프 정부가 달러 환율을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주식 중 고환율 수혜받는 주식 종목을 알아보도록 하죠.
1. 최근 이슈 – 환율 상승
2025년 3월 현재, 글로벌 외환 시장에서 미국 달러 강세가 지속되며 원/달러 환율은 1,465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국내 수출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IT, 자동차, 조선, 화장품 등 수출 중심 산업이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장품 업계는 K-뷰티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와 함께 고환율로 인한 환차익 효과를 누리며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주요 화장품 기업들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 일본, 유럽 등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며 매출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2. 고환율 테마주 선정 이유
고환율 상황에서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달러 강세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특히, 비용은 원화로 발생하고 매출은 달러로 발생하는 구조를 가진 기업들은 환율 상승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습니다.
화장품 업계는 ODM(제조자개발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제조하고 직수출하는 기업들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브랜드 경쟁력을 갖춘 K-뷰티 기업들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3. 고환율 수혜주(테마주)
종목명 | 현재 주가(원) |
---|---|
삼성전자 | 61,750원 |
SK하이닉스 | 208,250원 |
현대차 | 213,250원 |
아모레퍼시픽 | 149,500원 |
LG생활건강 | 333,000원 |
씨앤씨인터내셔널 | 41,350원 |
한국콜마 | 64,400원 |
코스맥스 | 173,000원 |
클리오 | 19,390원 |
잇츠한불 | 11,200원 |
고환율 테마주 선정 이유

삼성전자
- 기업 개요: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반도체 제조업체로 스마트폰, TV 등 다양한 전자제품을 생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선정 이유: 전체 매출의 약 80%가 해외에서 발생하며, 달러 강세로 인해 환율 효과가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외 판매 비중이 높아 고환율 상황에서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우리나라 매출 보다는, 해외 매출이 상당한 기업으로 환율 상승이 된다면 환차익으로 발생하는 수익이 클 것이라 생각됩니다.

SK하이닉스
- 기업 개요: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DRAM 및 NAND)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글로벌 IT 및 데이터센터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선정 이유: 전체 매출의 약 90%가 해외에서 발생하며, 달러 강세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가 기대됩니다. 특히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로 반도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삼성전자와 투탑으로 반도체 사업을 이끌고 있으며, 엔비디아 HB3M 매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
- 기업 개요: 현대차는 전기차(EV) 및 내연기관차를 포함한 다양한 차량을 생산하며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선정 이유: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의 판매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 시 매출 증가 효과를 누릴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전기차 라인업 확장과 미국 내 생산 시설 투자로 인해 추가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현대차 관세를 안한다는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더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 기업 개요: 아모레퍼시픽은 K-뷰티를 대표하는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로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선정 이유: 전체 매출의 약 70%가 해외에서 발생하며,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연결 영업이익이 기존 추정치 대비 약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중국 매출에 의존하던 화장품 관련주 회사에서 유럽 및 미국에서 매출 성과가 발생하면서 환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LG생활건강
- 기업 개요: LG생활건강은 화장품과 생활용품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후”, “숨”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통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선정 이유: 프리미엄 화장품의 해외 판매 비중이 높아 고환율 상황에서 매출 증가 효과가 기대됩니다. 특히 중국과 북미 시장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어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습니다.
씨앤씨인터내셔널
- 기업 개요: 씨앤씨인터내셔널은 ODM(제조자개발생산) 방식을 통해 화장품을 제조하며 글로벌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 선정 이유: 국내에서 제조 후 직수출하는 구조로 인해 달러 강세 상황에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매출 확대가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콜마
- 기업 개요: 한국콜마는 화장품 및 제약 분야에서 ODM 방식으로 제품을 제조하며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에 공급합니다.
- 선정 이유: 해외 매출 비중이 높으며 고환율 환경에서 실적 개선 효과를 누릴 가능성이 큽니다.
코스맥스
- 기업 개요: 코스맥스는 세계 최대 화장품 ODM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고객사와 협력하여 다양한 제품을 공급합니다.
- 선정 이유: 중국 외에도 미국과 동남아 시장으로 수출 다변화를 이루며 환차익 효과와 함께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습니다.
클리오
- 기업 개요: 클리오는 색조 화장품 전문 브랜드로 국내외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 중입니다.
- 선정 이유: 색조 화장품의 해외 판매 비중 증가와 함께 고환율 상황에서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잇츠한불
- 기업 개요: 잇츠한불은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한 K-뷰티 브랜드로 글로벌 시장 확장을 추진 중입니다.
- 선정 이유: 일본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 확대 중이며 고환율 환경에서 실적 개선 가능성이 큽니다.
주식 레버리지 사용방법의 2가지 방법. 알고 사용하세요
고환율 수혜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