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주가 전망 목표주가 확인하고 주식 투자 하세요. 한국전력은 2024~2025년 전기요금 인상, 국제 에너지 가격 안정화, 원전 가동률 상승 등으로 8년 만에 본격적인 실적 회복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2025년 1분기에는 9년 만에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증권가의 목표주가도 일제히 상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배당 확대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다만, 200조 원이 넘는 누적 부채, 낮은 유동비율, 전기요금 정책 불확실성 등 구조적 리스크도 여전히 상존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전력 수요 증가, 원전·신재생에너지 확대, 배당 정상화 등이 주가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게재하는 글에 대해 빠른 소식을 원하신다면, 아래 네이버 밴드에서 바로 확인받으세요.
주가 급등을 예상하는 테마주 입니다. 잘 판단하셔서 주식 수익 얻으시길 바랍니다. 추천 관련글
한국전력 최근 이슈는?(한국전력 배당금)
- 1분기 영업이익 3조7,536억 원: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24조2,240억 원, 영업이익 3조7,536억 원으로 9년 만에 분기 최고 실적. 전기요금 인상, 원전 가동률 상승, 에너지 가격 안정화 효과.
- 전기요금 7차례 인상 효과: 최근 3년간 전기요금 7차례 인상, 산업용 전기요금 9.7% 인상분 4분기부터 반영, 2025년 추가 인상 가능성.
- 원전·신재생 확대: 원자력 발전 비중 확대, SMP(계통한계가격) 하락, 연료비 절감 효과.
- 배당 확대 기대감: 2025년 하반기부터 배당 재개 및 확대 전망, 배당수익률 7%대 기대.
- 외국인·기관 순매수세: 2025년 5월 외국인 21만 주, 기관 144만 주 순매수, 투자심리 개선.
- 목표주가 상향: 메리츠 35,000원, 한화투자 33,000원, 신한투자 32,000원, KB증권 30,000원 등 증권가 일제히 목표가 상향.
- 52주 신고가 경신: 5월 16일 28,000원 종가, 연초 대비 30% 이상 상승.
한국전력은 2025년 1분기 3조7,536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9년 만에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전기요금 인상, 원전 가동률 상승, 에너지 가격 안정화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고, 하반기에는 배당 확대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주가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외국인·기관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투자심리도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확대와 전기요금 인상 기대감으로 한국전력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추가적인 상승세가 더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적자가 지속이 되면서 한국전력 배당금 지급이 되지 않았으나, 매출 증가로 인해 한국전력 배당금 지급에 대한 기대감도 주가 상승의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전력 관련 뉴스 기사
한국전력 주식 투자 리스크 요인은?
- 누적 부채 200조 원 이상: 2021년 이후 누적 영업적자 30조 원, 부채 200조 원 이상으로 재무구조 부담.
- 유동비율 45.7%: 유동비율이 국내 대형 상장사 중 최저 수준, 외부 충격 시 유동성 위기 우려.
- 전기요금 정책 불확실성: 요금 인상 필요성은 높으나, 정치·사회적 부담으로 인상폭 제한 가능성.
- 에너지 가격·환율 변동성: 국제 유가·LNG·석탄 등 원자재 가격, 환율 변동에 실적 민감.
- 원전·신재생 정책 변수: 원전 가동률, 신재생 확대 정책 변화에 따른 비용 구조 변동.
- 공매도·대차잔고 증가: 최근 공매도 비중 1~2.5%로 단기 변동성 확대.
한국전력은 2025년 들어 실적이 크게 개선됐지만, 200조 원이 넘는 누적 부채와 낮은 유동비율 등 재무 리스크가 여전히 큽니다. 전기요금 정책의 불확실성, 국제 에너지 가격 및 환율 변동, 원전·신재생 정책 변화 등도 주가 변동성 요인입니다. 공매도와 대차잔고 증가 역시 단기 조정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기요금 인상으로 누적 부채를 줄일 수 있는 여력과 대한민국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전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기업개요, 테마·사업분야
항목 | 내용 |
---|---|
기업명 | 한국전력공사(015760) |
설립연도 | 1961년 |
본사 소재지 | 전남 나주시 |
주요 테마 | 전력공기업, 원전·신재생, 전기요금, 배당, 에너지전환 |
사업분야 | 전력생산·송배전, 전력자원 개발, 기술개발·투자, 해외사업 |
주요 고객 | 국내 전력소비자(산업·가정·공공), 발전자회사 |
해외진출 | 미국, 중국, 동남아, 중동, 유럽 등 |
상장일 | 1989년(코스피), 1994년(NYSE) |
한국전력은 국내 전력생산·송배전, 전력자원 개발, 기술개발·투자, 해외사업 등 국가 기간산업의 중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정부·산업은행이 최대주주이며, 전력요금 정책, 원전·신재생 확대, 에너지전환 등 국가 에너지 정책과 밀접하게 연동되는 구조입니다. 다만, 적자 지속으로 회사의 매출 감소가 이어진것이 큰 단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할때 레버리지 사용방법 확인하세요.
한국전력 실적(최근 3분기)
구분 | 2024년 3분기 | 2024년 4분기 | 2025년 1분기 |
---|---|---|---|
매출(억원) | 24,4700 | 24,2240 | 24,2240 |
영업이익(억원) | 19,966 | 8,3647 | 37,536 |
영업이익률(%) | 8.2 | 3.5 | 15.5 |
순이익(억원) | 6,900 | 2,8000 | 28,000+ |
2025년 1분기 한국전력은 매출 24조2,240억 원, 영업이익 3조7,536억 원으로 9년 만에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전기요금 인상, 원전 가동률 상승, 에너지 가격 안정화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으며, 2024년 연간 영업이익은 8조7,457억 원, 2025년 연간 영업이익은 14~15조 원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분기 기준 최대 실적 달성을 하면서 한국전력 실적에 대한 기대감과 추가적인 실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다만, 전기요금 인상이 나타난 상태로 추가로 전기요금 인상이 된다면 매출폭은 더 커질것이라고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 사업 포트폴리오 심층 분석(전기요금 인상 관련주)
사업 부문 | 매출 비중(2024) | 성장률 | 시장 점유율/특징 | 전략/주요 이슈 |
---|---|---|---|---|
전기사업 | 62.6% | +5% | 국내 독점, 안정적 수익 | 전기요금 인상, 수요 증가 |
원자력발전 | 7.9% | +10% | 원전 가동률 확대 | SMP 하락, 연료비 절감 |
화력발전 | 21.6% | -3% | LNG·석탄 등 원가 하락 | 원가 절감, 친환경 전환 |
기타 | 7.9% | +8% | 신재생·해외사업 등 | 분산에너지, 재생에너지 확대 |
한국전력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전기사업(62.6%), 원자력발전(7.9%), 화력발전(21.6%), 기타(7.9%)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기요금 인상, 원전 가동률 확대, 화력발전 원가 하락, 신재생·분산에너지 확대 등이 실적 개선의 핵심 동력입니다.
전기 생산에 가장 극한의 가성비는 당연히 원자력발전으로 인한 전기생산입니다. 최근 원자력발전소 가동률을 높이면서 매출 상승에 힘을 실어준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주가 전망
한국전력 일봉차트 분석

한국전력 주가 전망을 살펴보면, 2025년 4~5월 한국전력 주가는 22,000원대에서 29,350원까지 단기 주가 급등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5일·20일·60일 이동평균선이 모두 우상향하며 강한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추세는 매출(실적) 분기 최대 달성과 더불어 추가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량 급증도 실적 발표와 한국전력 배당금 지급에 대한 기대감에 크게 증가했으며, RSI(14)는 70을 상회해 단기 과열 신호가 일부 포착되고 있습니다. 단기 지지선은 25,500~26,000원, 저항선은 30,000~33,000원 구간으로 분석됩니다.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가능성도 있으나, 실적 개선과 배당 기대감이 중장기 상승세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

구분 | 최근 순매수량 | 누적 순매수량 |
---|---|---|
개인 | -725,609 | -3,007,591 |
기관 | +1,532,725 | +4,619,272 |
외국인 | +143,442 | +8,972,533 |
최근 외국인과 기관의 강한 순매수세가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은 최근 한 달간 897만 주, 기관은 461만 주 이상 순매수해 시장 주도세력으로 부상했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으로 순매도를 기록 중입니다. 외국인·기관의 매수세가 유지된다면 주가의 추가 상승 여력도 충분합니다.
전기요금 인상과 한국전력 배당금 지급에 대한 기대감이 들어가면서 외국인 순매수가 한달 내내 이어지고 있으며, 기관 투자자들 또한 강한 순매수세가 나타나고 있는 반면, 차익실현 물량이 개인 주식 투자자들이 매도세를 하고 있습니다. 박스권에 있던 한국전력 주가에서 52주 신고가에 들어섬에 따라 매도가 강하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나타나면서 주가 급등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전과는 다른 상황이며, 전기요금 인상과 배당금 기대감으로 한국전력 주가 전망은 더 높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을 하고 전망을 보고 있습니다.
한국전력 공매도 잔고, 대차거래 잔고


구분 | 한국전력 공매도 거래량 | 한국전력 대차거래 잔고 |
---|---|---|
2025-05-19 | 286,216 | -50,778 |
2025-05-16 | 71,101 | +747,487 |
2025-05-15 | 55,936 | +50,098 |
한국전력 공매도 거래량은 최근 1~3%로 소폭 증가하며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실적 개선과 한국전력 배당금 지급 기대감에 따른 숏커버링이 유입될 경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공매도·대차잔고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대차거래 잔고 감소와 증가가 반복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전력 공매도의 경우 주가 급등(주가 상승)이 지속되면서 주가 하락이 나타나는 주가 조정을 예상하는 공매도 세력들의 매물이 대거 출현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면서 주가 하락보다는, 추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을 할 수 있습니다.
주식하면서 꼭 알아야하는 내용
- 공매도, 대차거래 확인 방법
- 주식 순매수와 순매도 용어 뜻
- 주식 투자자별 매매동향 확인하는 방법
- 공매도와 대차거래의 관계
- 주식 추가상장 악재? 호재?
- 당일 주도주 찾는 방법
- 현금 배당금과 주식 배당금
한국전력 목표주가

증권사/분석기관 | 목표주가(원) | 근거 |
---|---|---|
메리츠증권 | 35,000 | 실적 개선, 배당 확대 기대 |
한화투자증권 | 33,000 | 전기요금 인상, 영업이익 급증 |
신한투자증권 | 32,000 | 유가 안정화, 배당 확대 |
KB증권 | 30,000 | 원전 이용률 상승, 전력구매단가 하락 |
나의 목표주가 | 39,000 | 실적 턴어라운드, 배당 재개, 전기요금 정책 모멘텀 |
한국전력의 목표주가는 증권사 평균 30,000~35,000원대입니다. 실적 턴어라운드, 배당 확대, 전기요금 정책 모멘텀, 원전 가동률 상승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39,000원까지도 무난히 도달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한국전력 목표주가 근거의 경우 월봉상 저항선이 32,000원 부근이지만, 이전 63,700원의 역대 신고가 갱신을 한 이후 하락세가 강했으며, 하락세 이후 반등이 나타난다면 저항선은 뚫고 추가 상승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저점 예상
구분 | 예상 구간 | 근거 |
---|---|---|
기술적 지지선 | 25,500~26,000원 | 최근 저점·이동평균선 구간 |
외부 충격 시 | 23,000~24,000원 | 글로벌 변수, 단기 조정 |
한국전력의 단기 예상 저점은 25,500~26,000원 구간으로, 최근 저점과 60일 이동평균선이 겹치는 영역입니다. 만약 글로벌 경기 충격이나 정책 변수 등 외부 변수가 발생할 경우 23,000~24,000원까지도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적 성장세와 외국인·기관 매수세가 유지된다면 25,500원 이하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전망입니다.
다만, 전기요금 추가 인상이 되지 않거나, 원전 가동에 대해 정책적으로 가동 중단을 한다면 다시 주가 하락세가 강하게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주식하면서 꼭 알아야하는 정보
- 주식 권리락 이란?
- 유상증자 리픽싱 이란?
- 주식 호가창 보는 방법
- 상승VI와 하락VI 조건
- 투자경고종목에 대한 이해
- 주식 예수금 D+1, D+2 라는것은?
- 주식 거래량과 거래대금 무엇이 중요할까
한국전력 종합 분석
항목 | 요약 내용 |
---|---|
실적 |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3.8조, 연간 14~15조 전망, 9년 만에 분기 최대 실적 |
사업 포트폴리오 | 전기·원자력·화력·신재생, 국내 독점, 정책 모멘텀 강화 |
주가 동향 | 외국인·기관 매수세, 52주 신고가, 단기 급등 |
투자자 동향 |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 순매도 |
공매도/대차잔고 | 공매도 1~2.5%, 단기 변동성 확대 |
목표주가 | 39,000원(중장기), 증권가 평균 30,000~35,000원 |
예상 저점 | 25,500~26,000원, 하락 시 23,000~24,000원 가능성 |
한국전력은 2025년 1분기 9년 만의 분기 최대 실적, 전기요금 인상, 원전 가동률 상승, 배당 확대 기대감 등으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외국인·기관 매수세, 증권가 목표주가 상향, 정책 모멘텀 등 긍정적 신호가 많으나, 누적 부채와 유동성, 정책 변수 등 구조적 리스크에는 유의가 필요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39,000원 한국전력 목표주가 달성도 충분히 가능하며, 예상 저점은 25,500~26,000원 구간입니다.
해당 한국전력 주가 전망 글은 개인적 분석 글로 주식 투자 시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라며, 주식 투자로 수익 얻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