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앤에프 주가 전망 목표주가 글 확인하고, 주식 투자 하세요. 25년 엘앤에프는 글로벌 2차전지 공급망 변화 중심에 선 핵심 소재 기업으로 재부각되고 있습니다. 최근 SK온과의 북미 LFP(리튬인산철) 합작공급 협약 체결, 대규모 LFP 양극재 생산라인 구축 계획, 그리고 외국인·기관·기타법인 순매수 확대 등 호재가 겹치며 7월 19일 현재가 61,400원, 11.43% 상승 마감이라는 강력한 주가 반등이 연출됐습니다.
미국 IRA, AI 데이터센터 및 ESS 확장 트렌드,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의 ‘탈중국’ 소재 다변화 수요가 엘앤에프에 직접적 모멘텀으로 작용 중입니다. 투자 판단 시 전방 수요·실적 변동성, 단기 급등에 따른 변동 리스크 등도 함께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국내 주식 수혜주 목록
엘앤에프 최근 이슈는?
- SK온과 LFP 양극재 북미 공급 협약 – LFP 양극재 공급
- SK온과 엘앤에프는 북미 LFP 배터리 시장 공략을 위한 양극재 대량공급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미국 ESS·EV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 중이고, 비중국 조달 프리미엄에 따라 단일 고객사 리스크를 줄이며 출하 물량 확대가 기대됩니다.
- 대구 국가산단 부지에 6만톤 규모 LFP 양극재 생산시설을 신규 건립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 테슬라 등 주요 글로벌 업체와의 중장기 공급도 추진 중입니다.
- 기관·외국인·법인 매수세
- 최근 일주일간 외국인, 기관 및 기타법인이 순매수에 나섰고, 개인 투자자는 단기 차익실현 매도로 순매도 마감했습니다. 업계 전반 하락세와 달리 수급 선회가 주가 급등을 이끌었습니다.
- LFP 시장 구조 변화
- 미국과 북미권 LFP 수요 급증, ESS·AI 데이터센터 중심 시장 확대 등으로 LFP양극재 공급 능력은 기업가치 재평가의 핵심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엘앤에프, K-LFP 최대 수혜주…3분기 양극재 출하량↑-KB(이데일리 25.07.19)
엘앤에프, SK온과 북미 LFP 시장 공략…주가 13%대 급등(연합뉴스 25.07.11)
주식 투자 리스크 요인
주식 투자는 산업 수급, 고객사 동향, 정책 환경 등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엘앤에프 투자자는 주식 투자 리스크를 반드시 병행 점검하셔서 주식 투자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 LFP 수요 확대의 실적 반영 시차: 신규 대규모 공급은 실질 매출 가시화까지 시간이 소요됩니다.
- 글로벌 배터리사 간 단가 경쟁 심화: 조기 증설 및 공급 경쟁에 따른 마진 감소 위협.
- 자금조달 및 재무건전성 이슈: 최근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자금조달 과정에서 투자자 신뢰 저하 및 부채비율 상승 등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단기 급등 후 조정 리스크: 급격한 주가 상승 이후 단기 변동성 확대, 공매도 세력 재유입 우려.
최근 3분기 엘앤에프 실적
구분 | 2024년 4분기 | 2025년 1분기 | 2025년 2분기(예상) |
---|---|---|---|
매출액(억원) | 3,653 | 3,940 | 5,865 |
영업이익(억원) | -1,498 | -660 | -522 |
순이익(억원) | -978 | -580 | -420 |
실적 출처: 네이버증권, 산업뉴스, KB증권 리서치
사업 포트폴리오 요약
사업 부문 | 2025년 매출 비중(예상) |
---|---|
LFP 등 저가형 배터리 소재 | 40% |
NCM/고성능 양극재 | 55% |
기타 전자·나노 소재 | 5% |
사업 포트폴리오 출처: 엘앤에프 IR, KB증권, 산업뉴스
사업 포트폴리오 상세 설명
엘앤에프는 전통적으로 하이니켈 NCM, 수산화리튬 양극재 등 고성능 소재 부문에서 주도적 입지를 보유해왔습니다. 최근 시장 변화에 맞춰 LFP·ESS용 저가형 양극재 영역으로 사업 비중을 급격히 늘리고, 대형 전기차 업체 및 ESS 업체와 중장기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본격화했습니다. 자체 생산 기술력, 북미 대단위 CAPA 확보, 산업 내 고객사 확장력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주식 투자할때 레버리지 사용방법 확인하세요.
엘앤에프 주가 전망
주가전망 분석 (이동평균선·거래량·변동성)

- 이동평균선 정배열
- 종가 61,400원은 5일선(57,200원), 10일선(54,800원), 20일선(53,000원), 224일선(47,600원)을 전부 상향 돌파하며 단기·중기 정배열을 완성했습니다. 추가 강세 지속 시 64,000~68,000원 저항선 도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거래량·변동성
- 7월 19일 기준 240만 주 거래량은 일평균 대비 약 4~5배 수준입니다. 단기 급등세 속에서 ±15% 안팎의 높은 변동성이 관측됩니다.
- 단기 최고가/저점 분석
- 1주 최고가는 64,200원, 단기 저점은 53,200원입니다. 외국인·기관 수급에 따라 저점 56,000~58,000원이 강력한 지지선 역할을 하고, 추가 호재 발생 시 68,000원 전후 신규 신고가가 열릴 수 있습니다.
주가전망 추가 분석
북미 공급망 중심의 전략적 전환, 전기차·ESS 시장 호황, 기관·외국인 수급 반전이 ‘저점 턴어라운드’의 핵심 트리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단기 엘앤에프 실적 부진에도 미래 성장 가치가 주가를 견인 중이지만, 단기 주가 급등 이후 변동성 확대 국면에선 조정세 유입에도 유의가 필요합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
구분 | 최근 순매수량(주) |
---|---|
개인 | -377,196 |
기관 | +224,521 |
외국인 | +86,633 |
기타법인 | +61,178 |

이번 주 외국인·기관·기타법인이 동시에 순매수에 나서며 주가를 강하게 견인했습니다. 개인투자자는 수익실현 매도세로 전체 수급에서 순매도를 보여 단기 급등장 특유의 패턴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타법인 또한 순매수세가 들어오면서 개인 투자자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식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개인 투자자 32.9만 주 순매도, 외국인 34.6만 주 순매수, 기관 9.2만 주 순매도, 기타법인 7만 주 순매수 마감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비개인’ 투자주체의 강력한 매수세가 당분간 주가 하락폭을 제한하고 추가 상승세 불씨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엘앤에프 공매도 및 대차거래 현황
구분 | 최근 공매도 거래량(주) | 대차거래 잔고 |
---|---|---|
2025-07-19 | 41,990(1.41%) | 4,885,391(-16,870) |


엘앤에프 공매도 거래량은 주가 급등 구간에서 소폭 상승, 대차거래 잔고는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구조적 하락신호는 아니지만, 단기 이익실현세가 유입될 수 있는 구간입니다.
최근 600만주의 대차거래 잔고에서 480만주로 대차거래 감소세가 가속화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엘앤에프 저점에 도달한 상태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지금은 매수하기에 좋은 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하면서 꼭 알아야하는 내용
- 공매도, 대차거래 확인 방법
- 주식 순매수와 순매도 용어 뜻
- 주식 투자자별 매매동향 확인하는 방법
- 공매도와 대차거래의 관계
- 주식 추가상장 악재? 호재?
- 당일 주도주 찾는 방법
- 현금 배당금과 주식 배당금
엘앤에프 목표주가

증권사/분석기관 | 목표주가(원) | 근거 |
---|---|---|
KB증권 | 80,000 | 북미 LFP 공급 확대, 수익 턴어라운드 기대, 2차전지 업종 최선호주 유지 |
미래에셋증권 | 83,000 | EV·ESS 출하량 급증, 글로벌 벤더 지위, 하반기 실적 기대 |
개인적 목표주가 | 110,000 ~ 120,000 | LFP·NCM 동시 성장, 신규공장 CAPA 반영, 글로벌 고객 다변화, 미래 실적 개선 전망 |
개인적 목표주가 상세 근거
엘앤에프 목표주가 키움증권 월봉차트를 살펴보면, 개인적 목표주가 110,000 ~ 120,000원은 SK온 협업 본계약, 북미 LFP 시장 선점, ESS·AI 소재 트렌드 수혜, 실적 회복 모멘텀, IR활동과 기관·외인 수급 반전 등 질적·양적 재료를 종합한 결과입니다.
대규모 LFP 생산시설 조기 가동과 글로벌 완성차·배터리업체 공급 확대가 단기 밸류 상승과 중장기 성장 프리미엄 반영 기대를 높입니다. 349,500원의 역대 신고가 경신을 한 이후 47,000원의 최저가 까지 하락세가 이어졌으며, 2년간 주식 시세 하락폭이 높았던 주식 종목으로 주가 급등세가 나타난다면, 상승세가 강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월봉 차트 상 매물대는 150,000원대가 1차 매물대로 150,000원까지도 엘앤에프 목표주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단기간 주가 급등의 목표가가 아닌, 중장기적 엘앤에프 목표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엘앤에프 저점 예상
구분 | 예상 구간 | 근거 |
---|---|---|
기술적 지지선 | 56,000~58,000원 | 20·10일선 집결, 외인·기관 매매 집중구간, 거래량 반등구간 |
외부 충격 시 | 52,000~54,000원 | 실적 부진·시장 변동·공매도 증가 시 단기 심리적 하방선 |
저점 근거 상세 설명
56,000~58,000원은 최근 주가 조정 시마다 강력한 매수세가 유입된 구간이자 이동평균선 집결, 거래량 급증 등 기술적 반등 요인이 복합된 핵심 지지선입니다. 단기 외부악재나 실적 실망 시 52,000원 전후에서 심리적 저점 형성 가능성이 있으니, 분할 매수 관점에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종합 분석
항목 | 요약 내용 |
---|---|
실적 | 2024년 4Q~2025년 2Q 출하 증가 불구, -영업이익 지속, 하반기 턴어라운드 기대 |
사업 포트폴리오 | LFP 등 신시장 40%, NCM/고성능 양극재 55% 중심, 고객·지역 다변화 |
단기적 전망 | 북미 LFP 본계약, 기관·외국인 수급 강세, 단기 변동성 확대장 지속 |
중장기적 전망 | 글로벌 공급망 ‘탈중국’ 최대 수혜주, 하이니켈·LFP 동반 성장, 대형 고객 기반 |
목표주가 | 80,000~90,000원, 신공장 CAPA 본격가동 모멘텀, 실적·밸류 동반 개선 기대 |
예상저점 | 110,000~120,000원, 악재 시 52,000~54,000원 바닥 가능성 |
상세 종합 설명
엘앤에프는 2025년 ‘북미·글로벌 LFP 양극재 밸류체인’의 최전선에서 역동적으로 성장 중입니다. SK온·LG엔솔 등 글로벌 배터리사와 대형 양극재 공급 협약, 북미 ESS·EV 시장 확장, AI 데이터센터 수요 등 장기 대형 모멘텀을 현실화 하고 있습니다.
단기적 엘앤에프 실적 부진 및 재무구조 불확실성이 있으나, 신공장 본격 가동·최대수혜 공급망 효과·기관·외국인 수급 대반전 등 긍정적 요인이 우세합니다. 단기 주가 급등장에서는 차익실현 매도와 공매도 리스크를 병행 점검하면서, 중장기 시장 확대 및 실적 성장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주식 투자 FAQ
Q1. 엘앤에프 LFP 양극재 공급 핵심 고객과 글로벌 진출 현황은?
A.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글로벌 Top Tier 배터리사와 북미 LFP 공급 협약을 체결하고, 현지 생산 확충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Q2. 엘앤에프 실적은 언제부터 개선될까요?
A. 상반기까지 적자 기조를 보였으나, 신공장 가동, 공급 물량 확대로 하반기부터 매출 회복과 수익성 개선이 전망됩니다.
Q3. 외국인·기관 매수세 의미와 지속성은?
A. 최근 대규모 순매수세는 미래 성장 기대감과 공급망 프리미엄을 선반영한 것입니다. 장기 보유전략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Q4. 단기 투자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A. 급등 후 변동성 확대, 실적 미반영 시 주가 조정, 자금조달 및 부채비율 관리 리스크 등이 있습니다.
- KB증권 신규고객 주식 수수료 혜택 확인
- LS증권 신규고객 주식 수수료 혜택 확인
- NH나무증권 신규고객 주식 수수료 혜택 확인
- 키움증권 ETF 거래 방법(수수료,세금 등)
- 키움증권 ETF 거래 방법(HTS 화면번호, 보유기간 과세 등)
- AI 주식 자동매매(로보어드바이저) 실전 적용 사례
- 6월 밸류업지수 확인하기
어떤 시기이든, “익절”은 정답이며, 많은 수익이든, 적은 수익이든 익절을 한다면 성공한 주식 투자자로 볼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 시 유의하시며, 25년 엘앤에프 주가 전망 목표주가 해당 글은 개인적인 분석 글 입니다. 주식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런 정보, 매주 메일로 받아보고싶으신가요?
주식하면서 꼭 알아야하는 정보
- 주식 권리락 이란?
- 유상증자 리픽싱 이란?
- 주식 호가창 보는 방법
- 상승VI와 하락VI 조건
- 투자경고종목에 대한 이해
- 주식 예수금 D+1, D+2 라는것은?
- 주식 거래량과 거래대금 무엇이 중요할까
- 주식 재무제표 보는 방법
- 키움증권 ETF 거래방법, 화면번호
- 키움증권 ETF 수수료, 세금,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