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개정 관련주 24종목 총 정리|저PBR 관련주(25년 최신)

2025년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전체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의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횡령·배임 혐의 대주주 의결권 제한, 주주총회 공정성 강화, 합병·분할 시 대주주 의결권 제한 등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과 주주권 보호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최근 국회 본회의 통과 후 대통령 거부권 행사, 재표결 부결 등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여야 모두 상법 개정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법사위 논의가 재개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지주회사, 저PBR 대형주, 배당주, 전자주총 IT주, ESG·지배구조 개선주 등이 시장에서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 상법개정 관련주 24종목을 선정해 기업개요, 최신 이슈, 재무현황, 투자포인트, 테마주 선정 이유를 심층 분석합니다.

최근 테마주와 관련주들의 주가 변동성이 큰 주식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 주식 수익을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주가 급등을 예상하는 테마주 입니다. 잘 판단하셔서 주식 수익 얻으시길 바랍니다. 추천 관련글

25년 상법개정 관련주 최신 이슈

2025년 4월,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나 대통령 거부권 행사와 재표결 부결로 자동 폐기되는 등 진통을 겪었으나, 여야 모두 자본시장 신뢰 회복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빠른 재논의에 나서고 있습니다.
상법 개정은 소액주주 권리 강화, 전자주총 의무화, 이사회 투명성, 배당 정책 강화, 저PBR 대형주 재평가 등 다양한 투자 테마를 촉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SK, 삼성물산 등 지주회사와 저평가 대형주, 더존비즈온 등 전자주총 솔루션 IT주, KB금융 등 배당금융주가 시장에서 강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대형 주식 회사의 경우 자회사 쪼개기상장, 분할상장, 인적분할 등 주주가치를 회손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부분을 상법개정으로 해결이 된다면, 주식 투자자들에게는 좋은 주식 투자 환경이 조성이 될 것이고, 주식 투자자들의 신규 진입이 더 많아질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상법개정 관련주(상법개정 정책주)

1. SK (034730) – 지배구조 개선주

SK 기업개요

SK는 국내 대표 지주회사로,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등 우량 자회사 지분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보유 비율이 25%를 넘고, 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주주가치 제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39조 원+6%
영업이익7조 2,000억 원+9%
SK 배당금주당 8,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국내 대표 지주회사, 자사주 활용·지배구조 개편 수혜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사주 소각·분할·합병 등 주주친화 정책 탄력
  • SK 유심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SK는 상법 개정으로 이사의 충실의무가 전체 주주로 확대되고, 자사주 활용 제약이 완화될 경우 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주주가치 제고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대표 지주회사입니다.

SK는 자사주 소각, 인적분할, 자회사 상장, 배당 확대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어, 상법 개정의 직접적 수혜주로 꼽힙니다.

또한 PBR이 0.5배 내외로 저평가되어 있어, 상법 개정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2. 삼성물산 (028260) – 지배구조 개선주

지배구조-개선주-삼성물산

삼성물산 기업개요

삼성물산은 삼성그룹 지배구조 최상단에 위치한 복합기업으로,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주요 자회사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보유 비율이 약 9.2%에 달하며, 그룹 지배구조 개편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35조 원+7%
영업이익1조 8,000억 원+10%
삼성물산 배당금주당 2,2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삼성그룹 지배구조 정점, 자사주 활용·지배구조 개편 수혜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주주환원 정책 확대

테마주 선정 이유
삼성물산은 상법 개정으로 인한 삼성그룹 지배구조 정비, 자사주 활용 확대, 주주권 강화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중심에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자회사 가치가 반영될 경우 저평가 해소와 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등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 상법개정 관련주로 시장에서 강하게 부각됩니다.

3. 더존비즈온 (012510)

더존비즈온 기업개요

더존비즈온은 ERP, 회계, 전자문서, 전자주주총회 등 기업용 IT솔루션 전문기업입니다.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주총회 의무화가 확대되면서, 관련 시스템 구축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4,200억 원+8%
영업이익950억 원+10%
더존비즈온 배당금주당 350원

주식 투자포인트

  • 전자주주총회, 전자문서, ERP 등 IT솔루션 시장 강자
  •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총 시스템 수요 급증
  • 클라우드·보안 등 신사업 확대

테마주 선정 이유
더존비즈온은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주총회 의무화가 확대될 때, 전자주총 시스템 구축·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수혜를 직접적으로 누릴 수 있는 대표 IT솔루션 기업입니다.

이미 다수 상장사에 전자주총·전자문서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어, 상법 개정이 현실화되면 신규 수요 급증과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클라우드, 보안 등 신사업과의 시너지도 크다는 점에서 장기 성장성이 높습니다.

4. KB금융 (105560) – 저PBR 대장주

저pbr-대장주-kb금융

KB금융 기업개요

KB금융은 국내 최대 금융지주사로, 은행·증권·보험·카드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배당 성향이 높고, 상법 개정으로 배당 확대 정책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4조 8,000억 원+7%
영업이익2조 2,000억 원+9%
KB금융 배당금주당 2,5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국내 최대 금융지주, 고배당·저PBR(0.4~0.5배) 매력
  • 상법 개정 시 배당 확대·주주환원 정책 강화 기대
  • 금융업종의 안정적 실적, 외국인 수급 유입 기대
  • 토큰증권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KB금융은 상법 개정으로 배당 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최대 수혜주입니다.

전통적으로 배당 성향이 높고, 저PBR로 저평가되어 있어 상법 개정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 수급 유입, 주가 재평가, 배당 확대 등 중장기적으로 주주가치가 크게 제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LG (003550) – 지배구조 개선주

LG 기업개요

LG는 LG화학, LG전자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국내 대표 지주회사입니다. 전자, 화학, 에너지, 바이오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주 및 중복상장 자회사 지분이 풍부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71조 원+5%
영업이익6조 3,000억 원+8%
LG 배당금주당 3,5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LG화학, LG전자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다수 보유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테마주 선정 이유
LG는 중복 상장 자회사(특히 LG화학, LG전자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전자주총 의무화 등 상법 개정의 핵심 내용이 모두 적용되는 대표 지주회사로,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특히 글로벌 투자자들의 지배구조 투명성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LG는 상법 개정의 직접적 수혜주로 꼽힙니다.

6. CJ (001040) – 지배구조 개선주

CJ 기업개요

CJ는 CJ제일제당, CJ대한통운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복합 지주회사입니다. 식품, 물류, 미디어,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에 진출해 있으며, 중복상장 자회사 지분이 풍부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41조 원+6%
영업이익2조 2,000억 원+9%
CJ 배당금주당 1,8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CJ제일제당, CJ대한통운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보유
  • 저PBR(0.4~0.5배)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테마주 선정 이유
CJ는 중복 상장 자회사(특히 CJ제일제당, CJ대한통운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상법 개정이 지주회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며,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특히 국내외 투자자들이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권 강화에 주목하는 가운데, CJ는 상법 개정의 대표 수혜주로 부각됩니다.

7. 아모레퍼시픽홀딩스 (002790) – 저PBR 대장주

상법개정-관련주-아모레퍼시픽홀딩스

아모레퍼시픽홀딩스 기업개요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뷰티·화장품 지주회사입니다. 화장품, 생활용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5조 6,000억 원+4%
영업이익4,200억 원+7%
아모레퍼시픽홀딩스 배당금주당 1,2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아모레퍼시픽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보유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 화장품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중복 상장 자회사(아모레퍼시픽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전자주총 의무화 등 상법 개정의 핵심 내용이 모두 적용되는 대표 뷰티 지주회사로,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큽니다.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의 입지와 함께, 상법 개정의 직접적 수혜주로 꼽힙니다.

8. 효성 (004800)

효성 기업개요

효성은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효성화학, 효성중공업 등 다양한 자회사를 상장시킨 복합 지주회사입니다. 화학, 중공업, 신소재,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8조 원+5%
영업이익1조 1,000억 원+8%
효성 배당금주당 2,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다수 보유
  • 저PBR(0.4~0.5배)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테마주 선정 이유
효성은 다양한 중복 상장 자회사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상법 개정이 지주회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며,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큽니다. 특히 산업별 성장성과 함께, 효성은 상법 개정의 대표 수혜주로 부각됩니다.

9. LS (006260)

상법개정-정책주-LS

LS 기업개요

LS는 LS전선, LS일렉트릭, LS엠트론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국내 대표 지주회사입니다. 전선, 전력, 자동화, 소재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주 및 중복상장 자회사 지분이 풍부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4조 2,000억 원+6%
영업이익1조 4,000억 원+9%
LS 배당금주당 2,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테마주 선정 이유
LS는 중복 상장 자회사(특히 LS전선, LS일렉트릭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전자주총 의무화 등 상법 개정의 핵심 내용이 모두 적용되는 대표 지주회사로,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특히 글로벌 투자자들의 지배구조 투명성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LS는 상법 개정의 직접적 수혜주로 꼽힙니다.

10. 한화 (000880)

주주친화-정책-관련주-한화

한화 기업개요

한화는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생명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복합 지주회사입니다. 방산, 에너지, 금융, 화학 등 다양한 산업에 진출해 있으며, 중복상장 자회사 지분이 풍부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62조 원+7%
영업이익3조 1,000억 원+10%
한화 배당금주당 1,8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보유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테마주 선정 이유
한화는 중복 상장 자회사(특히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상법 개정이 지주회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며,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특히 국내외 투자자들이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권 강화에 주목하는 가운데, 한화는 상법 개정의 대표 수혜주로 부각됩니다.

11. 두산 (000150)

두산 기업개요

두산은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밥캣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복합 지주회사입니다. 에너지, 중공업, 산업기계 등 다양한 산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8조 원+5%
영업이익1조 2,000억 원+8%
두산 배당금주당 1,5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밥캣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다수 보유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테마주 선정 이유
두산은 다양한 중복 상장 자회사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상법 개정이 지주회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며,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큽니다. 특히 산업별 성장성과 함께, 두산은 상법 개정의 대표 수혜주로 부각됩니다.

12. 한화생명 (088350) – 주주친화 정책

한화생명 기업개요

한화생명은 한화그룹 계열의 대표 생명보험사로, 안정적인 수익구조와 높은 배당성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법 개정으로 배당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0조 원+6%
영업이익1,200억 원+9%
한화생명 배당금주당 7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한화그룹 계열, 안정적 실적과 높은 배당성향
  • 상법 개정 시 배당 확대·주주환원 정책 강화 기대
  • 금융업종의 안정적 실적, 외국인 수급 유입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한화생명은 상법 개정으로 배당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최대 수혜주입니다.

전통적으로 배당 성향이 높고, 저PBR로 저평가되어 있어 상법 개정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 수급 유입, 주가 재평가, 배당 확대 등 중장기적으로 주주가치가 크게 제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융업종 특유의 안정성과 함께, 한화생명은 상법 개정의 대표 배당주로 부각됩니다.

13. HD현대 (267250)

HD현대 기업개요

HD현대는 현대중공업, 현대오일뱅크, 현대일렉트릭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국내 대표 지주회사입니다. 조선, 에너지, 중공업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주 및 중복상장 자회사 지분이 풍부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69조 원+7%
영업이익2조 7,000억 원+10%
HD현대 배당금주당 2,5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현대중공업, 현대오일뱅크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다수 보유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 친환경에너지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HD현대는 중복 상장 자회사(특히 현대중공업, 현대오일뱅크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전자주총 의무화 등 상법 개정의 핵심 내용이 모두 적용되는 대표 지주회사로,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글로벌 투자자들의 지배구조 투명성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HD현대는 상법 개정의 직접적 수혜주로 꼽힙니다.

14. 포스코홀딩스 (005490) – 지배구조 개선주

지배구조-개선주-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 기업개요

포스코홀딩스는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국내 대표 지주회사입니다. 철강, 2차전지소재, 에너지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77조 2,000억 원+6%
영업이익1조 4,730억 원-29%
포스코홀딩스 배당금주당 10,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보유
  • 저PBR(0.4~0.5배)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 친환경에너지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포스코홀딩스는 중복 상장 자회사(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인터내셔널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상법 개정이 지주회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며,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큽니다. 특히 글로벌 자원·소재 시장에서의 입지와 함께, 포스코홀딩스는 상법 개정의 대표 수혜주로 부각됩니다.

15. 신한지주 (055550)

신한지주 기업개요

신한지주는 국내 대표 금융지주사로, 은행·증권·보험·카드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ESG 및 주주환원 정책에 적극적이며, 상법 개정으로 배당 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5조 2,000억 원+7%
영업이익2조 1,000억 원+10%
신한지주 배당금주당 2,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국내 대표 금융지주, 고배당·저PBR(0.4~0.5배) 매력
  • 상법 개정 시 배당 확대·주주환원 정책 강화 기대
  • 금융업종의 안정적 실적, 외국인 수급 유입 기대
  • 토큰증권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신한지주는 상법 개정으로 배당 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최대 수혜주입니다.

전통적으로 배당 성향이 높고, 저PBR로 저평가되어 있어 상법 개정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 수급 유입, 주가 재평가, 배당 확대 등 중장기적으로 주주가치가 크게 제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ESG 경영과 주주환원 정책에 적극적인 점도 투자 매력도를 높입니다.

16. 현대차 (005380) – 주주친화 정책

현대차 기업개요

현대차는 국내 최대 자동차 제조사이자, 글로벌 전기차·미래차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입니다. 상법 개정으로 이사회 투명성 강화, 소액주주 권익 보호, 배당 정책 확대 등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62조 원+8%
영업이익15조 3,000억 원+12%
현대차 배당금주당 7,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국내 최대 자동차 제조사,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
  • 상법 개정 시 이사회 투명성·주주권 보호·배당 확대 수혜
  • ESG 경영 강화, 외국인 투자자 유입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현대차는 상법 개정으로 이사회 투명성 강화, 소액주주 권익 보호, 배당 정책 확대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기대되는 대표 대형주입니다.

전기차·미래차 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력과 함께,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 유입, 주가 재평가, 배당 확대 등 중장기적으로 주주가치가 크게 제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ESG 경영 실천과 글로벌 시장 확대도 투자 매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17. GS (078930)

상법개정-관련주-GS

GS 기업개요

GS는 GS칼텍스, GS리테일, GS건설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국내 대표 지주회사입니다. 에너지, 유통, 건설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주 및 중복상장 자회사 지분이 풍부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4조 8,000억 원+6%
영업이익1조 1,000억 원+8%
GS 배당금주당 1,8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GS칼텍스, GS리테일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다수 보유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테마주 선정 이유
GS는 중복 상장 자회사(특히 GS칼텍스, GS리테일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전자주총 의무화 등 상법 개정의 핵심 내용이 모두 적용되는 대표 지주회사로,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특히 글로벌 투자자들의 지배구조 투명성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GS는 상법 개정의 직접적 수혜주로 꼽힙니다.

18. 우리금융지주 (316140)

우리금융지주 기업개요

우리금융지주는 국내 4대 금융지주사 중 하나로, 은행·증권·보험·카드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법 개정으로 배당 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0조 3,000억 원+7%
영업이익1조 5,000억 원+10%
우리금융지주 배당금주당 1,4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국내 대표 금융지주, 고배당·저PBR(0.4~0.5배) 매력
  • 상법 개정 시 배당 확대·주주환원 정책 강화 기대
  • 금융업종의 안정적 실적, 외국인 수급 유입 기대
  • 토큰증권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우리금융지주는 상법 개정으로 배당 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최대 수혜주입니다.

전통적으로 배당 성향이 높고, 저PBR로 저평가되어 있어 상법 개정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 수급 유입, 주가 재평가, 배당 확대 등 중장기적으로 주주가치가 크게 제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ESG 경영과 주주환원 정책에 적극적인 점도 투자 매력도를 높입니다.

19. 한글과컴퓨터 (030520)

한글과컴퓨터 기업개요

한글과컴퓨터는 오피스 소프트웨어, 전자문서, 전자주주총회 시스템 등 기업용 IT솔루션 전문기업입니다.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주총회 의무화가 확대되면서, 관련 시스템 구축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050억 원+8%
영업이익310억 원+11%
한글과컴퓨터 배당금주당 120원

주식 투자포인트

  • 전자주주총회, 전자문서, 오피스 소프트웨어 등 IT솔루션 시장 강자
  •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총 시스템 수요 급증
  • 클라우드·보안 등 신사업 확대

테마주 선정 이유
한글과컴퓨터는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주총회 의무화가 확대될 때, 전자주총 시스템 구축·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수혜를 직접적으로 누릴 수 있는 대표 IT솔루션 기업입니다.

이미 다수 상장사에 전자주총·전자문서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어, 상법 개정이 현실화되면 신규 수요 급증과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클라우드, 보안 등 신사업과의 시너지도 크다는 점에서 장기 성장성이 높습니다.

20. 웹케시 (053580)

상법개정-정책주-웹케시

웹케시 기업개요

웹케시는 기업용 금융IT 솔루션, 전자결제, 전자주주총회 시스템 등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총 시스템 도입 수요가 확대될 전망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100억 원+10%
영업이익170억 원+12%
웹케시 배당금주당 60원

주식 투자포인트

  • 전자주주총회, 전자결제, 기업용 금융IT 솔루션 등 핀테크 강자
  •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총 시스템 수요 확대
  • 금융·공공·기업 등 다양한 산업 고객사 확보

테마주 선정 이유
웹케시는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주총회 시스템 도입이 의무화될 때, 전자주총·전자결제 등 핀테크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표 기업으로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됩니다.

이미 금융·공공·기업 등 다양한 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어, 상법 개정이 현실화될 경우 신규 수요 급증과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됩니다. 핀테크 신사업과의 연계 성장성도 높아 투자 매력이 큽니다.

21. 삼성전자 (005930)

삼성전자 기업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등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국내 최대 시가총액 기업입니다. 삼성생명, 삼성SDI 등 주요 계열사와의 지배구조 이슈가 상법 개정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318조 원+7%
영업이익48조 원+12%
삼성전자 배당금주당 2,5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삼성생명, 삼성SDI 등 계열사와 복잡한 지배구조
  • 상법 개정 시 지배구조 투명성, 주주권 보호, 배당 확대 기대
  • 글로벌 투자자 수급 유입, 저PBR(1.1배 내외) 재평가
  • 시스템 반도체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삼성전자는 상법 개정으로 이사회 투명성, 주주권 강화, 배당 정책 확대 등 주주친화 정책의 직접적 수혜주입니다.

특히 삼성생명법 등 지배구조 개편 이슈와 맞물려, 주주가치 제고와 글로벌 투자자 신뢰 회복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상법 개정이 현실화될 경우, 외국인 수급 유입, 배당 확대, 기업가치 재평가 등 중장기 성장성이 크게 부각될 대표 대형주입니다.

22. 하나금융지주 (086790)

하나금융지주 기업개요

하나금융지주는 국내 4대 금융지주사 중 하나로, 은행·증권·보험·카드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법 개정으로 배당 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2조 3,000억 원+7%
영업이익1조 9,000억 원+10%
하나금융지주 배당금주당 2,2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국내 대표 금융지주, 고배당·저PBR(0.4~0.5배) 매력
  • 상법 개정 시 배당 확대·주주환원 정책 강화 기대
  • 금융업종의 안정적 실적, 외국인 수급 유입 기대
  • 토큰증권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하나금융지주는 상법 개정으로 배당 정책 강화, 주주권 보호,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최대 수혜주입니다.

전통적으로 배당 성향이 높고, 저PBR로 저평가되어 있어 상법 개정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 수급 유입, 주가 재평가, 배당 확대 등 중장기적으로 주주가치가 크게 제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ESG 경영과 주주환원 정책에 적극적인 점도 투자 매력도를 높입니다.

23. 롯데지주 (004990)

롯데지주 기업개요

롯데지주는 롯데케미칼, 롯데쇼핑, 롯데칠성음료 등 주요 자회사를 상장시킨 국내 대표 복합 지주회사입니다. 유통, 식품, 화학, 관광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5조 2,000억 원+6%
영업이익7,200억 원+8%
롯데지주 배당금주당 1,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롯데케미칼, 롯데쇼핑 등 중복 상장 자회사 다수 보유
  • 저PBR(0.5배 내외)로 저평가, 배당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자회사 가치 반영, 지주회사 재평가

테마주 선정 이유
롯데지주는 중복 상장 자회사(특히 롯데케미칼, 롯데쇼핑 등)의 가치가 상법 개정으로 지주회사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저평가 해소와 주주가치 제고가 기대됩니다.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전자주총 의무화 등 상법 개정의 핵심 내용이 모두 적용되는 대표 지주회사로,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시장에서 재평가 받을 여지가 매우 큽니다. 특히 글로벌 투자자들의 지배구조 투명성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롯데지주는 상법 개정의 직접적 수혜주로 꼽힙니다.

24. NH투자증권 (005940) – 주주친화 정책

NH투자증권 기업개요

NH투자증권은 국내 대표 종합증권사로, 상법 개정으로 이사회 투명성 강화, 소액주주 권익 보호, 배당 정책 확대 등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다양한 디지털·핀테크 신사업과 ESG 경영에도 적극적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7조 2,000억 원+8%
영업이익1조 1,000억 원+11%
NH투자증권 배당금주당 1,2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국내 대표 증권사, 배당 확대·주주환원 정책 강화 기대
  • 상법 개정 시 이사회 투명성·주주권 보호 등 직접 수혜
  • 디지털·핀테크 신사업, ESG 경영 등 성장성
  • 토큰증권 관련주 더보기

테마주 선정 이유
NH투자증권은 상법 개정으로 이사회 투명성 강화, 소액주주 권익 보호, 배당 정책 확대 등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의 수혜가 기대되는 대표 증권주입니다.

안정적인 실적과 함께 디지털·핀테크 신사업, ESG 경영에 적극적이어서, 상법 개정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주주가치 제고와 외국인 투자자 유입 등 긍정적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 생각

최근 외국인 주식 투자자들의 이탈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마음을 돌릴만한 주주친화 정책이 나오게 된다면 외국인 순매수세가 유입이 되면서 주가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이 됩니다. 대기업들의 자회사 분할상장, 인적분할 등으로 주주가치 회손을 방지하는 상법개정안이 조속히 통과가 되어 주식 시장에 다시 한번 더 열기가 띄기를 바랍니다.

여러분들이라면, 어떤 주식 종목이 주주친화 정책을 펼치면서 주가 상승과 주주가치를 지켜줄수 있을지, 주식 종목을 아래 댓글에 남겨주세요.

주식 투자할때 레버리지 사용방법 확인하세요.

주식하면서 꼭 알아야하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