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예수금 D+1 D+2 증거금 용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기

주식 예수금 D+1 D+2 단어가 무엇인지 이해가 잘 안가는 분들이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결제시스템에 따라 D+1과 D+2로 나뉘어지는데 어떤건지 주식 초보자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글 입니다. 주식 투자를 하신다면 꼭 알아야할 단어이기도 합니다.

20% 이상 주가 급등을 예상하는 테마주 입니다. 잘 판단하셔서 주식 수익 얻으시길 바랍니다.

주식 예수금 이란

주식-예수금-D+1-D+2
  • 주식 예수금이라는 것은 주식거래 시 고객이 증권사 계좌에 입금한 금액 중 매매결제대금으로 사용하지 않은 금액
  • 예수금은 주식 매매 시 증거금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예금 인출 시 가능한 금액을 뜻 합니다.
  • 예수금은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숫자이며, 내가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금액을 표시한 금액입니다.
  • 오늘 매수와 매도를 할 경우 당일 출금이 불가능합니다.
  • 매도대금담보대출을 이용한 경우 당일 출금이 가능하나, 수수료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나의 예수금이 100만 원이 있습니다. 100만원 중 70만 원을 매수하고, 당일 매도를 진행했습니다. 주식 수익금은 10%인 7만 원으로 총 나의 예수금은 107만 원이 됩니다. 이 중, 당일 출금 가능한 금액은 30만 원이며, 나머지 77만 원은 D+2 후에 인출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결제시스템은 3거래일 후 결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미국 해외주식의 경우 D+3까지도 있으며, 주식 결제일이 다르기 때문인데, 이는 미수거래와 주식 신용거래를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일 매수, 매도한 금액은 출금이 불가능한 이유는 D+1D+2 에서 다뤄보도록 하죠.

주식 예수금 D+1 D+2

주식-증거금-주식-예수금-마이너스

위에서 언급했던 예수금과 더불어 중요한 주식 단어는D+1D+2입니다. 우리나라 주식 매매제도의 경우 3거래일 후불제도 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을 뜻하는 용어가 주식 예수금 D+1D+2입니다. D+1, D+2가 뜻하는것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1 : 1 거래일 후 내가 출금할 수 있는 금액
  • D+2 : 2 거래일 후 내가 출금할 수 있는 금액

주식 시장에서는 주말에는 주식 휴장일이며, 공휴일 또한 주식 휴장일입니다. 휴장일에는 D+1D+2 가 적용이 되지 않는데, 주식 결제일은 1일, 2일 후의 기준이 아니며, 1거래일 2거래일 이 적용이 됩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 25년 4월 1일 월요일 당일 매수, 매도를 진행하였을 경우 내가 모든 금액 출금 가능한 날짜는 4월 3일입니다.
  • 25년 4월 4일 목요일 당일 매수, 매도를 진행하였을 경우 내가 모든 금액 출금 가능 날짜는 4월 9일이 됩니다.

주식 거래일로 D+1D+2 가 정해지며, 휴장일은 포함이 되지 않기에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아 예시를 들어봤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주식 거래일이라는 것은 주식이 거래가 가능한 일자로, 평일 기준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주식 예수금 D+1 D+2 마이너스(주식 예수금 마이너스)

  • D+1 마이너스, D+2 마이너스의 경우 미수거래를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D+1 D+2 주식 예수금 마이너스 일 경우 현금을 입금하지 않는다면 미수동결계좌 혹은 10만원 이상일 경우 보유한 주식 종목 하한가 반대매매가 진행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 D+1 D+2 주식 예수금 마이너스가 된 것은 주식 손실금액으로 현금 입금이 원칙입니다.

미수거래의 경우 3거래일 이후 상환을 해야 합니다. 신용거래의 경우 신용거래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미수거래의 경우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각 주식 별 신용가능한 퍼센트까지 레버리지 사용이 가능하며, 3거래일간은 수수료 무료로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예수금 마이너스가 된다면, 해당 마이너스 금액만큼 현금입금을 해야합니다. 또는 주식 매도를 하여 마이너스만큼의 손실금액을 갚아야 하는 것 입니다. 즉, 마이너스 예수금은 내가 갚아야할 돈 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혹여나, 미수거래를 진행한 이후 해당 주식을 다 처분하더라도, 당일 매도가 아닌 이상 현금으로 완납을 하거나, 매도대금담보대출을 진행해야 합니다.

주식 증거금

주식 증거금 이란?

  • 주식 증거금 이란 주식 또는 파생상품 거래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을 주식 증거금이라고 부릅니다.
  • 일반적인 현금 주식 거래를 한다면 주식 증거금이 필요 없으나, 미수거래 및 신용거래 시 증거금을 볼 수 있습니다.
  • 일반주식 거래에서 투자자는 보유금액보다 2.5배 ~ 2.8배가량의 더 많은 주식 주문이 가능하며 이것을 주식 시장에서 ‘레버리지’라고 부릅니다.
  • 레버리지 사용을 하기 위한 담보금 책정을 하는 것인지 그것을 증거금이라고 합니다.
  • 대부분 증거금 20% 종목, 증거금 30% 종목, 증거금 40% 종목, 증거금 50% 종목, 증거금 60% 종목까지 다양합니다.
  • 레버리지는 주식 미수거래 또는 주식 신용거래를 이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최대 5배까지 가능합니다.

100% 현금거래로 주식 투자를 한다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지만 신용거래 혹은 미수거래를 하신다면 주식 증거금률을 확인하셔서 레버리지 사용을 하셔야 합니다. 다만, 레버리지 주식 거래는 다소 위험부담이 크다 보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는 주식 수익이 발생하여 현금 출금을 위해서 확인을 해야 합니다. 2거래일 이후가 되지 않는다면 현금 출금은 불가능하게 됩니다.

레버리지 사용방법의 2가지 방법. 알고 사용하세요

주식을 한다면, 당연히 알아야할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