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총 정리(FDA 관련주) TOP 32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TOP32 주식 종목 확인해보세요. 최근 제약바이오주 주가 급등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FDA 임상 허가 소식부터, FDA NDA 소식까지 나타나면서 한국 의료 기술력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등 확인해보시고 주식 투자해보세요.

최근 주가 변동성이 커지는 주식 시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선을 앞두고 공약과 정치방향에 따라 테마주(관련주) 주가 급등이 강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 이상 주가 급등을 예상하는 테마주 입니다. 잘 판단하셔서 주식 수익 얻으시길 바랍니다.

Table of Contents

제약바이오주 최근 이슈 요약

  • FDA 승인·임상 기대감: 2025년 상반기, HLB(리보세라닙), 유한양행(렉라자), HK이노엔(케이캡) 등 주요 신약의 FDA 승인 및 임상 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SK바이오팜,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은 이미 FDA 승인 신약을 미국 시장에서 직접 판매하며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기술수출·공동개발 확대: 한올바이오파마, 에이비엘바이오 등은 FDA 임상 및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2025년 상반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미국 FDA 임상, 허가, 기술수출 이슈가 연이어 부각되고 있습니다.
  • 한미약품, 대웅제약, 동아에스티, 펩트론, 보로노이 등은 FDA 임상·허가·기술수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파트너사와 협업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 FDA 승인 신약의 미국 시장 매출 성장, 추가 적응증 확대, 파트너십 강화 등이 투자포인트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은 FDA 승인 바이오의약품 생산 및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유한양행은 폐암 신약 ‘렉라자’의 FDA 승인, GC바이오파마는 면역글로불린 제제 ‘알리글로’의 FDA 승인 등 혁신 신약과 바이오시밀러에서 미국 시장 진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FDA 관련주)

1. HLB (028300) – 신약 개발 관련주(FDA 관련주)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hlb-신약-개발-관련주

HLB 기업개요

HLB는 간암 치료제 ‘리보세라닙’으로 2025년 FDA 최종 승인 심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파트너사 항서제약과 병용요법 임상 결과가 우수하며, 승인 시 국내 항암제의 글로벌 진출 신호탄이 될 전망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200억 원+8%
영업이익-320억 원적자지속
HLB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리보세라닙 FDA 승인 기대, 국산 항암제 글로벌 진출
  • FDA BIMO 실사 ‘보완사항 없음(NAI)’ 통보
  • 승인 시 미국 매출 및 기술수출 모멘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 임박, 항암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감이 가장 높은 주식 종목이며, 최근 FDA NDA 승인 2번째 고비를 마셨습니다. 한국 주식 중에서 가장 큰 블록버스터 간암 1차 치료제 신약 개발 관련주 입니다.

2. 유한양행 (000100) –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유한양행-fda-관련주

유한양행 기업개요

유한양행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 FDA NDA 허가가 되면서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승인이 되었습니다. 국내 최초 신약 항암제 개발 완료가 되었으며, 렉라자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파이프 라인 확장에 대한 기대가 높으며, FDA 관련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조 1,000억 원+7%
영업이익1,350억 원+10%
유한양행 배당금주당 1,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렉라자 FDA 승인 기대, 미국 시장 본격 진출
  • 존슨앤드존슨과 공동개발, 글로벌 시장 레퍼런스
  • 기술료 및 로열티 수익 확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이 완료 된 렉라자를 기반으로 파이프라인을 늘려가면서 더 많은 암에 대해 치료약을 개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큰 주식 종목으로 신약 개발 관련주 입니다.

3. SK바이오팜 (326030)

SK바이오팜 기업개요

SK바이오팜은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 수면장애 치료제 ‘수노시’ 등으로 이미 FDA 승인을 받아 미국 시장에서 직접 판매 및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3,400억 원+9%
영업이익210억 원+12%
SK바이오팜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FDA 승인 신약(엑스코프리, 수노시) 미국 시장 상업화
  • 적응증 확대, 매출 고성장 지속
  • 독자개발·직판 체계 구축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 신약의 미국 시장 매출 고성장과 독자 상업화 역량이 부각되는 대표주이며, 신약 개발 관련주로 거론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4. 셀트리온 (068270) – 바이오시밀러 관련주

셀트리온 기업개요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램시마SC)’, 항암제 ‘트룩시마’, ‘허쥬마’ 등 다수 바이오시밀러·항암제의 FDA 승인을 획득해 미국 시장에서 활발히 판매 중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조 8,000억 원+8%
영업이익9,100억 원+11%
셀트리온 배당금주당 1,1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다수 바이오시밀러·항암제 FDA 승인,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
  • 짐펜트라, 트룩시마 등 신제품 라인업
  • 미국 PBM 등재, 가격 경쟁력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 바이오시밀러·항암제의 미국 시장 매출 성장과 신제품 출시가 기대되는 대표주입니다. 바이오시밀러로 막대한 매출을 이끌고 있어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라고 볼 수 있습니다.

5. 한미약품 (128940)

한미약품 기업개요

한미약품은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로 FDA 승인을 받아 미국 시장에서 매출을 확대 중이며, 파트너사 어셋티오와 함께 비소세포폐암 신약 ‘포지오티닙’ 등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FDA 임상·허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조 4,000억 원+8%
영업이익1,000억 원+10%
한미약품 배당금주당 1,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롤론티스’ FDA 승인, 미국 시장 매출 성장
  • ‘포지오티닙’ 등 신약 파이프라인 FDA 임상·허가 진행
  • 미국 파트너사 어셋티오 등과 협업, 기술수출 확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 신약의 매출 성장과 추가 파이프라인의 미국 임상·허가 모멘텀을 동시에 보유한 대표주로 파이프라인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큰 FDA 관련주이며,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6. 대웅제약 (069620)

대웅제약 기업개요

대웅제약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로 FDA 승인을 받아 미국 시장에서 매출을 확대 중입니다. 미국 파트너사 에볼루스(미용 적응증), 이온바이오파마(치료 적응증)와 협업해 추가 적응증 임상 및 허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조 2,000억 원+9%
영업이익800억 원+12%
대웅제약 배당금주당 8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나보타’ FDA 승인, 미국 시장 매출 고성장
  • 에볼루스·이온바이오파마와 협업, 추가 적응증 임상 진행
  • 미국 시장 내 미용·치료 적응증 확대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 톡신의 미국 시장 매출 성장과 추가 적응증 임상 확대가 부각되는 대표주로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7. 동아에스티 (170900) – 신약 개발 관련주

동아에스티 기업개요

동아에스티는 항생제 ‘시벡스트로’로 FDA 승인을 받아 미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신약 파이프라인의 미국 임상 및 기술수출을 지속 추진 중입니다. SK케미칼 혈우병 치료제 ‘앱스틸라’의 미국 상업화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6,800억 원+6%
영업이익520억 원+9%
동아에스티 배당금주당 6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시벡스트로’ FDA 승인, 미국 시장 진출 경험
  • 혈우병 치료제 ‘앱스틸라’ 등 글로벌 파이프라인 보유
  • 미국 임상 및 기술수출 확대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 항생제 및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을 동시에 보유한 대표 신약 개발 관련주입니다.

8. 펩트론 (087010)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펩트론

펩트론 기업개요

펩트론은 파킨슨병 치료제 ‘PT320’의 미국 FDA 임상 2상, 뇌종양 치료제 ‘PT112’의 미국 FDA 임상 2상 등 CNS(중추신경계)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국 파트너사와 공동 임상 및 기술수출을 추진 중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00억 원+15%
영업이익-60억 원적자지속
펩트론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파킨슨병·뇌종양 치료제 등 FDA 임상 파이프라인 보유
  • 미국 파트너사와 공동 임상, 기술수출 추진
  • CNS 신약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임상 파이프라인과 미국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글로벌 신약 개발 기대감이 높은 바이오벤처주 이며, 기술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알테오젠의 뒤를 따라갈 것이라고 예상이 되며,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9. 에이프로젠 (003060)

에이프로젠 기업개요

에이프로젠은 바이오시밀러(에이프로젠 인플릭시맙 등)와 항체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에서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획득해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신규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글로벌 임상도 진행 중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300억 원+12%
영업이익80억 원+15%
에이프로젠 배당금주당 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바이오시밀러 FDA 허가, 미국 시장 진출
  • 항체신약 글로벌 임상, 적응증 확대
  • 기술수출 및 파트너십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FDA 바이오시밀러 허가와 미국 시장 진출, 신약 글로벌 임상 모멘텀을 동시에 보유한 바이오 대표주입니다. 최근에는 초고순도 다중항체 제조 플랫폼 특허 출원을 하여 신약 개발 관련주로 볼 수 있습니다.

10. 녹십자 (006280) – 독감백신 관련주

녹십자 기업개요

녹십자는 면역글로불린 제제 ‘알리글로’로 FDA 승인을 받아 미국 시장에서 매출을 확대 중입니다. 혈액제제, 백신, 희귀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글로벌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조 7,000억 원+8%
영업이익1,100억 원+10%
녹십자 배당금주당 1,0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면역글로불린 ‘알리글로’ FDA 승인, 미국 시장 매출 성장
  • 혈액제제·백신 등 글로벌 파이프라인
  • 미국·유럽 등 선진시장 진출 확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승인 혈액제제의 미국 시장 매출 성장과 글로벌 확장성이 기대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최근 태국 시장에 594만 도즈 물량의 지씨플루(독감백신)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하여 기 대감이 큰 주식 종목입니다.

11. 종근당바이오 (063160) – 비동물성 공정

종근당바이오 기업개요

종근당바이오는 바이오시밀러, 항생제, 항암제 등 글로벌 신약·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며, 미국 FDA 승인 및 기술수출을 추진 중입니다. 최근 미국 파트너사와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임상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100억 원+13%
영업이익95억 원+14%
종근당바이오 배당금주당 60원

주식 투자포인트

  • 바이오시밀러·항생제 등 FDA 승인 및 기술수출 파이프라인
  • 미국 파트너사와 공동개발, 글로벌 임상 확대
  • 선진시장 진출, 신제품 출시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FDA 임상·허가 파이프라인과 미국 시장 진출, 기술수출 기대감이 높은 바이오 대표주입니다. 비동물성 보툴리눔 톡신 허가를 받고 비동물성 공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로 볼 수 있습니다.

12. BL팜텍 (238200)

BL팜텍 기업개요

BL팜텍은 항암제, 신경질환 치료제 등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1/2상 진입 및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을 추진 중인 바이오벤처입니다. 최근 항암 ADC(항체-약물 접합체) 신약의 미국 임상 진입이 투자자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10억 원+18%
영업이익-40억 원적자지속
BL팜텍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항암제·ADC 신약 미국 FDA 임상 진입
  •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 추진, 미국 파트너십 확대
  •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 보유, 성장성 부각

테마주 선정 이유
BL팜텍은 FDA 임상 진입과 글로벌 기술이전 모멘텀으로, 혁신 신약 개발 기대감이 높은 바이오벤처로 신약 개발 관련주 입니다.

13. 아미코젠 (092040)

아미코젠 기업개요

아미코젠은 바이오의약품 원료, 항체신약, 바이오시밀러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및 기술수출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최근 항체신약의 미국 임상 진입과 파트너십 확대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000억 원+13%
영업이익70억 원+15%
아미코젠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항체신약·바이오시밀러 미국 FDA 임상 진입
  • 원료의약품·CDMO 사업 확장, 글로벌 기술수출 추진
  • 미국·유럽 파트너십 확대, 성장성 부각

테마주 선정 이유
아미코젠은 FDA 임상 파이프라인과 글로벌 기술수출, CDMO 사업 확장으로 성장성이 부각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14. 보로노이 (310210)

한국-제약바이오-테마주-보로노이

보로노이 기업개요

보로노이는 표적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1/2상 진입 및 기술수출 계약을 추진 중입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개발, 희귀질환 신약 임상 진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320억 원+20%
영업이익-60억 원적자지속
보로노이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표적항암제·희귀질환 치료제 미국 FDA 임상 진입
  •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개발, 기술수출 확대
  • 희귀질환 신약 파이프라인, 성장성 부각

테마주 선정 이유
보로노이는 FDA 임상 진입과 글로벌 공동개발, 희귀질환 신약 파이프라인으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혁신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15. 제넥신 (095700)

제넥신 기업개요

제넥신은 면역항암제, DNA 백신, 희귀질환 치료제 등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2/3상 진입 및 글로벌 기술수출을 추진 중입니다. 최근 미국 FDA 임상 진입과 파트너십 확대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580억 원+14%
영업이익-110억 원적자지속
제넥신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면역항암제·DNA 백신 미국 FDA 임상 진입
  • 희귀질환 치료제, 글로벌 기술수출 확대
  • 미국 파트너십, 신약 파이프라인 성장

테마주 선정 이유
제넥신은 FDA 임상 진입, 글로벌 기술수출,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으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16. 박셀바이오 (323990) – NK세포 관련주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nk세포-관련주-박셀바이오

박셀바이오 기업개요

박셀바이오는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이중표적 CAR-T 등 혁신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바이오기업입니다. 간세포암 치료제 ‘Vax-NK/HCC’의 글로벌 임상 2a상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FDA 임상 및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 중이며, 이중표적 CAR-T 고형암 치료제도 글로벌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70억 원+19%
영업이익-120억 원적자지속
박셀바이오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간세포암 치료제 글로벌 임상 2a상 결과 우수, FDA 임상 및 기술이전 추진
  • 이중표적 CAR-T 고형암 치료제, 글로벌 임상 진입 준비
  • 글로벌 제약사와 파트너십 및 기술이전 논의 활발
  • 간암 치료제 NK세포 치료제 원천특허 등록 완료

테마주 선정 이유
박셀바이오는 FDA 임상 진입 및 글로벌 기술이전 모멘텀, 혁신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으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대표 바이오벤처입니다. 간암 치료용 NK세포 원천특허 국내 등록 완료가 되면서 주가 급등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17. 네이처셀 (007390) – 조인트스템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네이처셀

네이처셀 기업개요

네이처셀은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으로 국내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FDA 품목허가를 위한 최종 임상시험을 승인받았습니다. FDA가 국내 임상 3상을 현지 허가 심사의 기준으로 인정하면서, 품목허가 신청 기대감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510억 원+17%
영업이익42억 원+15%
네이처셀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FDA 최종 임상 승인, 품목허가 기대
  • 동정적 사용(EAP) 정책 수립, 글로벌 품목허가 기준 충족
  • 미국 시장 진출 기대,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네이처셀은 FDA 임상 3상 승인 및 품목허가 기대감, 줄기세포치료제의 미국 진출 모멘텀으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FDA 임상 3상 승인 허가가 나타남에 따라서 FDA NDA 승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가 급등세가 강하게 나타난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18. 올릭스 (226950)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올릭스

올릭스 기업개요

올릭스는 RNA 간섭(RNAi) 기반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1/2상에 진입한 비대상성 황반변성, 특발성 폐섬유증 등 혁신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도 추진 중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10억 원+16%
영업이익-60억 원적자지속
올릭스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RNAi 신약 미국 FDA 임상 진입, 기술이전 논의
  • 비대상성 황반변성, 폐섬유증 등 혁신 치료제 개발
  •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개발, 성장성 부각

테마주 선정 이유
올릭스는 FDA 임상 진입과 글로벌 기술이전,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으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19. 퓨쳐켐 (220100) – 전립선암 치료제

퓨쳐켐 기업개요

퓨쳐켐은 방사성의약품(암·치매 진단제,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기업으로, 전립선암 진단제 ‘FC303’ 등 주요 파이프라인이 미국 FDA 임상 3상에 진입해 있습니다. 미국 파트너사와의 공동개발, 기술이전 논의도 활발합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50억 원+18%
영업이익-35억 원적자지속
퓨쳐켐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전립선암 진단제 등 방사성의약품 FDA 임상 3상 진입
  • 미국 파트너사와 공동개발, 기술이전 논의
  • 암·치매 진단·치료제 글로벌 시장 성장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퓨쳐켐은 FDA 임상 3상 진입, 방사성의약품 글로벌 시장 진출, 기술이전 기대감이 부각되는 혁신 바이오주로 기대가 되면서 진단 치료용 신약 개발 관련주 입니다.

20.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 바이오시밀러 대장주

바이오시밀러-관련주-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개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입니다. FDA 승인 항체·바이오의약품 대량 생산을 담당하며, 글로벌 빅파마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5공장 가동으로 생산능력이 대폭 확대될 예정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4조 1,000억 원+15%
영업이익1조 2,000억 원+18%
삼성바이오로직스 배당금주당 4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FDA 승인 바이오의약품 대량 생산, 글로벌 빅파마 파트너십
  • 미국·유럽 시장 매출 성장, 신공장 증설 효과
  • 혁신 신약 생산 역량, 글로벌 CDMO 시장 점유율 확대

테마주 선정 이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FDA 승인 의약품의 글로벌 생산 허브로, 미국 시장 성장성과 글로벌 파트너십이 부각되는 대표주입니다. 바이오시밀러 대장주로 볼 수 있으며, 매출이 매년 증가 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1. 파미셀 (005690)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파미셀

파미셀 기업개요

파미셀은 줄기세포 치료제, mRNA 원료, 뉴클레오시드 등 바이오 신약 원료를 개발·생산하는 기업입니다. FDA 승인 mRNA 백신 원료, 줄기세포 치료제 글로벌 임상 등 미국 시장과 직접 연관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100억 원+13%
영업이익110억 원+16%
파미셀 배당금주당 70원

주식 투자포인트

  • FDA 승인 mRNA 백신 원료 공급, 글로벌 제약사 파트너십
  • 줄기세포 치료제 미국 임상, 신약 원료 시장 확대
  • 신사업(뉴클레오시드 등) 성장성 부각

테마주 선정 이유
파미셀은 FDA 승인 mRNA 원료 공급과 줄기세포 치료제 임상 등 미국 시장 성장성이 부각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22. 신풍제약 (019170)

신풍제약 기업개요

신풍제약은 항말라리아제 ‘피라맥스’의 미국 FDA 임상 3상 진행, 코로나19 치료제 등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국 파트너사와 공동개발, 기술수출을 추진 중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200억 원+10%
영업이익160억 원+12%
신풍제약 배당금주당 8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항말라리아제 ‘피라맥스’ FDA 임상 3상,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
  • 미국 파트너사와 공동개발, 기술수출 추진
  • 신약 글로벌 임상 확대, 성장성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신풍제약은 FDA 임상 3상 파이프라인과 미국 시장 진출, 글로벌 신약 개발 기대감이 높은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23.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에이비엘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기업개요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신약, 면역항암제 등 혁신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1/2상 진입 및 글로벌 기술이전을 추진 중입니다.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개발, 기술수출 계약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320억 원+18%
영업이익-70억 원적자지속
에이비엘바이오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이중항체 신약, FDA 임상 진입, 글로벌 기술이전
  • 면역항암제, 뇌질환 치료제 등 혁신 파이프라인
  •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개발, 성장성 부각
  • 담도암 연구자주도 임상, 첫 환자 투여 시작

테마주 선정 이유
에이비엘바이오는 FDA 임상 진입과 글로벌 기술이전,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으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신약 개발 관련주로 AACR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담도암 첫 환자 투여 시작을 했습니다.

24. 동화약품 (000020)

동화약품 기업개요

동화약품은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및 기술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베트남 의약품 유통체인 사업 확대와 더불어 미국·유럽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300억 원+16%
영업이익210억 원+18%
동화약품 배당금주당 1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FDA 임상 파이프라인
  • 베트남 등 글로벌 유통망, 미국 시장 진출 확대
  • 기술수출 및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동화약품은 FDA 임상 파이프라인과 글로벌 시장 진출, 기술수출 기대감이 높은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25. 광동제약 (009290)

광동제약 기업개요

광동제약은 항암제, 면역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유럽 등 해외 시장 진출과 FDA 임상·허가를 추진 중입니다. 최근 아시아, 유럽 시장에서 매출 확대가 두드러집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조 5,000억 원+12%
영업이익1,000억 원+14%
광동제약 배당금주당 30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항암제, 면역질환 치료제 등 FDA 임상 파이프라인
  • 아시아·유럽·미국 등 글로벌 매출 확대
  •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기술수출 기대

테마주 선정 이유
광동제약은 FDA 임상 진입과 글로벌 시장 확대, 기술수출 모멘텀으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입니다.

26. 영진약품 (003520)

영진약품 기업개요

영진약품은 항생제,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및 기술수출을 추진 중입니다. 최근 해외법인 매출 확대와 글로벌 임상 진입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100억 원+15%
영업이익85억 원+13%
영진약품 배당금주당 60원

주식 투자포인트

  • 항생제·항암제·희귀질환 치료제 FDA 임상 파이프라인
  • 해외법인 매출 증가, 글로벌 임상 진입 확대
  • 기술수출 및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영진약품은 FDA 임상 진입과 글로벌 시장 진출, 기술수출 기대감이 높은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입니다.

27. JW생명과학 (234080)

JW생명과학 기업개요

JW생명과학은 TPN(총비경구영양),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및 기술수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시장 TPN 매출 확대와 신약 임상 진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600억 원+14%
영업이익120억 원+16%
JW생명과학 배당금주당 80원

주식 투자포인트

  • TPN,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FDA 임상 파이프라인
  • 미국 TPN 시장 매출 확대, 글로벌 임상 진입
  • 기술수출 및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JW생명과학은 FDA 임상 진입과 미국 시장 매출 확대, 신약 파이프라인 성장성이 부각되는 바이오 대표주입니다.

28 신라젠 (215600)

한국-제약바이오-관련주-신라젠-신약-개발-관련주

신라젠 기업개요

신라젠은 항암 바이러스치료제 ‘펙사벡’의 미국 FDA 임상 3상을 재개하며, 간암·직장암 등 고형암 치료제 글로벌 상업화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2024년 FDA로부터 임상 재개 승인을 받아 글로벌 임상 진행 중입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0억 원+25%
영업이익-180억 원적자지속
신라젠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항암 바이러스치료제 ‘펙사벡’ 미국 FDA 임상 3상 재개
  • 간암·직장암 등 고형암 치료제 글로벌 상업화 도전
  • FDA 품목허가 기대감, 글로벌 파트너십 논의
  • 네덜란드 기업 항암제 “BAL0891” 특허, 권리 획득(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테마주 선정 이유
신라젠은 FDA 임상 3상 재개와 글로벌 항암 치료제 상업화 기대감으로 대표적인 혁신 바이오주 입니다. 임상변경 승인을 받아 다시 한번 더 주가 급등을 기대 할 수 있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 입니다.

29. 이수앱지스 (086890) – 신약 개발 관련주

이수앱지스 기업개요

이수앱지스는 희귀질환 치료제, 항암 항체신약 등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2/3상에 진입해 있습니다. 최근 혈우병 치료제, 희귀질환 항체신약의 미국 임상 확대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420억 원+14%
영업이익-30억 원적자지속
이수앱지스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희귀질환 치료제, 항암 항체신약 미국 FDA 임상 진입
  • 혈우병 치료제, 글로벌 임상 확대
  • 기술수출 및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이수앱지스는 FDA 임상 파이프라인과 글로벌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진출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로 기술이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30. 엔지켐생명과학 (183490)

엔지켐생명과학 기업개요

엔지켐생명과학은 면역조절제, 항암제 등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2/3상에 진입해 있습니다. 구강점막염, 코로나19 치료제 등 다양한 적응증에서 임상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150억 원+11%
영업이익-70억 원적자지속
엔지켐생명과학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면역조절제, 항암제 등 미국 FDA 임상 진입
  • 구강점막염, 코로나19 등 다양한 적응증 임상 확대
  • 글로벌 기술수출, 파트너십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엔지켐생명과학은 FDA 임상 진입과 적응증 확대, 글로벌 기술수출 기대감으로 성장성이 부각되는 바이오주입니다.

31. 티움바이오 (321550)

티움바이오 기업개요

티움바이오는 희귀질환 치료제, 항암제 등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FDA 임상 1/2상에 진입해 있습니다. 혈우병, 난소암 등 희귀·난치질환 치료제 임상 확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90억 원+13%
영업이익-50억 원적자지속
티움바이오 배당금없음

주식 투자포인트

  • 희귀질환 치료제, 항암제 미국 FDA 임상 진입
  • 혈우병, 난소암 등 적응증 확대, 글로벌 임상 강화
  • 기술수출 및 글로벌 파트너십 추진

테마주 선정 이유
티움바이오는 FDA 임상 진입과 희귀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 글로벌 기술수출 기대감이 높은 신약 개발 관련주 입니다.

32. 휴젤 (145020)

휴젤 기업개요

휴젤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Letybo)’로 2024년 미국 FDA 허가를 획득하며, 국내 톡신 기업 최초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기업입니다. 중국, 유럽, 브라질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 진출로 글로벌 톡신 3강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항목2024년 실적전년 대비 변화율
매출액2,000억 원+14%
영업이익520억 원+16%
휴젤 배당금주당 800원

투자포인트

  • 보툴리눔 톡신 ‘레티보’ 2024년 미국 FDA 허가, 국내 최초 미국 시장 진출
  • 중국·유럽·브라질 등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미국 시장 매출 고성장 기대
  • 추가 적응증 확대, 글로벌 생산능력 강화

테마주 선정 이유
휴젤은 FDA 허가를 통한 미국 시장 진출, 글로벌 톡신 시장 점유율 확대, 생산능력 강화로 성장성이 부각되는 한국 제약바이오 관련주로 미국 진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레버리지 사용방법의 2가지 방법. 알고 사용하세요

주식을 한다면, 당연히 알아야할 정보